이브온라인 팩션별 함선 세부 정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함선 | |||||||||||
![]() ![]() ![]() ![]() ![]() ![]() ![]() ![]() ![]() 함선(함급)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 문서 |
민마타(Minmatar)의 함선들의 대표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Reaper 리퍼 |
|
![]() |
|
![]() ![]() ![]() ![]() ![]() ![]() |
|
2 High / 2 Medium / 2 Low | 2 Turret / 2 Launcher / Drone 5, 5 |
롤 보너스 함선 속도 10% 보너스 ![]() ![]() 실드 부스트량 15% 보너스 |
Corvette급 Reaper는 파이터와 간신히 구분되어 루키쉽 최소 조건에 도달할만큼 작은 민마타 함선이다. 염가로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법을 넘나드는 민마타 인들이 뺑소니 목적으로 자주 이용한다.
민마타의 루키쉽.
Breacher 브리쳐 |
|
![]() |
|
![]() ![]() ![]() ![]() |
|
3 High / 4 Medium / 3 Low | 3 Launcher / Drone 10, 10 |
Minmatar Frigate 보너스(레벨당) 라이트 미사일, 로켓 5% 보너스 실드 부스트량 7.5% 보너스 |
브리쳐는 구조물은 부서지기 쉬워 거의 고철 더미나 다름없는 수준이나, 함선에 장착 가능한 미사일 런처의 갯수와 최고급센서로 인해 장거리 교전에 있어서는 민마타 프리깃 중 최고로 여겨집니다.
2x안실러리 실드부스터에 크리스탈셋 임플란트를 낀 브리쳐의 탱킹은 어마어마해서 브라울링으로 쓰는 올드비들이 많다.
가장 흔한 피팅은 미디움 안실러리 실드 부스터와 스몰 안실러리 아머 리페어를 같이쓰는 듀얼 탱킹 브리처.
Burst 버스트 |
|
![]() |
|
![]() ![]() ![]() |
|
3 High / 3 Medium / 3 Low | 2 Turret / Drone 5, 5 |
롤 보너스![]() Minmatar Frigate 보너스(레벨당) ![]() ![]() |
YC 114년 끝이 보이지 않는 치열하고 소모적인 전쟁으로 인해 각 국가는 지원 및 보급 기능이 함선에 절실하다는 것을 실감하였습니다. 범은하 전쟁과 같이 수백광년을 넘나드는 전장은 장기전으로 이어지기 쉬웠고 자원 소모가 극심해 이에 대해 각국이 경각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해당 취지에 따라 민마타 공화국은 버스트에 대한 재설계를 실시했습니다.
버스트는 작고 빠른 화물용 프리깃이었으나 재설계가 이루어지면서 기존의 채광 기능이 실드 지원 장비로 대체되었습니다.
실드 로지스틱스 프리깃. 자세한건 로지스틱스 문서를 참고하자.
Probe 프로브 |
|
![]() |
|
![]() ![]() ![]() |
|
3 High / 4 Medium / 3 Low | 2 Turret / 2 Launcher/ Drone 35, 15 |
롤 보너스![]() Minmatar Frigate 보너스 (스킬 레벨당) ![]() ![]() |
프로브는 대다수의 민마타 프리깃보다 큰 편으로 정찰기 및 밀수선으로 사용하기 적합합니다. 일반 민마타 함선과는 다르게 단단한 외막을 갖추어 파괴하기 쉽지 않으며 장착 가능한 무기의 수가 한정되어 있어 교전 시 지원 병력에 의존하는 특성을 보입니다.
민마타의 탐사 프리깃.
Rifter 리프터 |
|
![]() |
|
![]() ![]() ![]() ![]() |
|
3 High / 3 Medium / 4 Low | 3 Turret / 2 Launcher |
Minmatar Frigate 보너스(레벨당)![]() ![]() |
리프터는 강력한 전투 프리깃으로 여타 뛰어난 프리깃에 쉽게 대응할 수 있는 함선입니다. 민마타 항쟁 도중 전장에 투입된 이후로 수없이 많은 개량을 거쳤습니다. 리프터는 전술 활용도가 매우 높고 다양해서 쉽게 예측할 수 없고 치명적인 타격을 입힐 수 있습니다.
프리깃의 아이돌(?) 리프터 ccp사내에서 리프터 모형을 들고 다큰 어른들이 도그 파이팅 놀이를 하기도 한다(?) 외관도 멋지고 성능도 뒤쳐지지는 않지만 PvP에서는 애매하다는 평이 많고 커리어 미션을 끝내면 Thrasher를 지급하는지라…
Slasher 슬래셔 |
|
![]() |
|
![]() ![]() ![]() ![]() ![]() |
|
4 High / 4 Medium / 2 Low | 3 Turret |
롤 보너스![]() Minmat Frigate 보너스(레벨당) ![]() ![]() |
슬래셔는 저렴하지만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함선입니다. 대량으로 생산되었기 때문에 민마타 지역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함선 중 하나입니다. 슬래셔는 매우 빠르면서도 평균 이상의 무장을 탑재할 수 있어, 신참 해적이나 밀수업자들이 선호합니다.
통칭 날파리. 이동속도가 빠르고 스캔 레졸루션(스캔 강도)이 높아 타겟팅 속도가 빠르다. 그리하여 하이섹에서 서스펙트 캡슐인 유저를 까거나, 함대에서 저렴한 태클러 역할로 사용되기도 한다.
PVP 에서는 4미드인 점을 이용하여 dps 를 포기하고 삼신기를 넣은뒤 트래킹 디스럽터를 쓰는 피팅이 자주 쓰인다.
Vigil 비질 |
|
![]() |
|
![]() ![]() ![]() ![]() |
|
2 High / 5 Medium / 2 Low | 2 Launcher |
Minmatar Frigate 보너스(레벨당)![]() ![]() |
일반적이지 않은 민마타 함선으로 장거리 정찰뿐만 아니라 전자전에서도 활용됩니다. 빠른 기동력을 바탕으로 적과의 거리를 유지하며 재머를 포함한 각종 전자전 장비를 사용합니다.
대규모 플릿에서 스킬이 낮은 뉴비에게 던져주는 함선. 프라이머리를 따라 타겟 페인터만 발라주면 플릿의 DPS향상에 도움이 되고 기본 락온거리 및 타페 사거리로 인해 킬메일에 쉽게 이름을 올릴 수 있다. 흔히 침바르기(Killmail Whore)라고 부르는 함선.
![]() 프로브 플릿 이슈 |
|
![]() |
|
![]() ![]() ![]() ![]() |
|
4 High / 4 Medium / 3 Low | 2 Launcher |
롤 보너스![]() ![]() ![]() Minmatar Frigate 보너스 (스킬 레벨당) ![]() ![]() ![]() |
프로브는 대다수의 민마타 프리깃보다 큰 편으로 정찰기 및 밀수선으로 사용하기 적합합니다. 일반 민마타 함선과는 다르게 단단한 외막을 갖추어 파괴하기 쉽지 않으며 장착 가능한 무기의 수가 한정되어 있어 교전 시 지원 병력에 의존하는 특성을 보입니다.
민마타의 탐사 프리깃.
![]() 비질 함대 에디션 |
|
![]() |
|
![]() ![]() ![]() ![]() ![]() ![]() ![]() |
|
3 High / 4 Medium / 3 Low | 1 Turret / 2 Launcher |
롤 보너스![]() Minmatar Frigate 보너스(레벨당) ![]() ![]() ![]() |
웹 사거리 보너스를 이용하여 FW 지역에서 워프인 하는 카이터를 잡기도 하고 스크램 카이팅을 할 때에도 쓰인다.
![]() 공화국 함대 파이어테일 |
|
![]() |
|
![]() ![]() ![]() ![]() |
|
3 High / 4 Medium / 3 Low | 2 Turret / 1 Launcher |
Minmatar Frigate 보너스(레벨당)![]() ![]() |
광활한 4미드를 활용한 핀홀더(스크램 카이터)로 악명 높은 함선. 웹 두장으로 핀홀딩을 수행함은 물론 워프 재머와 앱번or마웦까지 쓸 수 있어 한번 멱살이 잡히면 어지간한 방법으로는 빠져 나올 수 없다.
또한 아틸러리로 무장할 경우 프리깃 상대로 막강한 아틸러리의 알파샷이 상대의 메인 탱킹을 뚫고 아머나 헐까지 뚫고 들어가기 때문에 수리를 아무리 돌려도 유리한 싸움을 강요할 수 있다.
하지만 몸 자체가 약하고 피팅이 너무 예측 가능하기에, 어느정도 숙련된 솔로잉 유저에겐 카운터하기 너무 쉬운 함선.
![]() 재규어 |
|
![]() |
|
![]() ![]() ![]() ![]() |
|
4 High / 5 Medium / 3 Low | 1 Turret / 3 Launcher |
롤 보너스![]() ![]() Minmatar Frigate 보너스(레벨당) ![]() ![]() 실드 부스트량 7.5% 보너스 Assault Frigates 보너스(레벨당) ![]() ![]() ![]() ![]() |
딜, 탱킹, 속도 어느 것 하나 버릴 것 없는 완전체 어썰트 프리깃. 민마타 특유의 빠른 속도는 교전과 교전거리를 선택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1대1에서 정말 강력한 면모를 보인다. 어썰트 프리깃의 탱킹 보너스를 살려 프리깃 스몰갱에서 태클러로도 자주 기용된다.
![]() 울프 |
|
![]() |
|
![]() ![]() ![]() ![]() |
|
5 High / 2 Medium / 5 Low | 4 Turret / 1 Launcher |
롤 보너스![]() ![]() Minmatar Frigate 보너스(레벨당) ![]() ![]() Assault Frigates 보너스(레벨당) ![]() ![]() |
매우 좋아 보이지만 아마르의 레트리뷰션과 더불어 미들이 두개… 태클 삼신기가 안들어간다. 슬프다. 그래도 함대원들과 함께라면 많은 로우슬롯이 빛을 발하는 함선.
![]() 치타 |
|
![]() |
|
![]() ![]() ![]() |
|
3 High / 4 Medium / 3 Low | 2 Turret / 1 Launcher |
롤 보너스![]() ![]() ![]() ![]() Minmatar Frigate 보너스(레벨당) ![]() ![]() Covert Ops 보너스 (스킬 레벨당) ![]() ![]() ![]() |
민마타의 코버트 옵스 프리깃
![]() 하운드 |
|
![]() |
|
![]() ![]() ![]() ![]() |
|
5 High / 3 Medium / 3 Low | 2 Turret / 3 Launcher |
롤 보너스 토피도 런처 파워그리드 요구치 99.7% 감소 클로킹 디바이스 CPU요구량 50% 감소 클로킹 디바이스 사용 후 타게팅 패널티 없음 코버트옵스 클로킹 디바이스, 코버트 사이노필드 제너레이터, 밤 런처 피팅 가능 Minmatar Frigate 보너스(레벨당) 토피도 폭발속도, 비행시간 10% 보너스 토피도 비행속도 20% 보너스 Covert Ops 보너스(레벨당) EX 밤 대미지 5% 보너스 EX 토피도 대미지 15% 보너스 |
EX 속성으로 무장한 속성 깡패. EM 속성의 아마르 스텔스 바머 퓨리파이어와 함께 스텔스 바머 중 원탑을 겨루고 있다. 5/3/3의 무난한 슬롯 배분으로, 극딜에 치중한 피팅을 할 경우 알파샷이 5000을 쉽게 넘어간다. 기본적으로 민마타쉽이라는 베이스를 가지고 있어 속도가 빠르고, EX속성 특화라는 장점과 동시에 다른 바머들에 비해 비교적 넉넉한 피팅치로 인해 실질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스텔스 바머.
![]() 하이에나 |
|
![]() ![]() ![]() ![]() ![]() ![]() |
|
3 High / 4 Medium / 3 Low | 2 Turret / 2 Launcher |
Minmatar Frigate 보너스(레벨당)![]() ![]() Electronic Attack Ships 보너스(레벨당) 스테이시스 웹 옵티멀 40% 보너스 함선 시그니처 3% 감소 |
웹과 타겟 페인터 보너스를 이용하여 프리깃 플릿이나 소규모 플릿에서 웨버 롤을 담당한다.
![]() 클로우 |
|
![]() |
|
![]() ![]() ![]() ![]() ![]() |
|
4 High / 2 Medium / 4 Low | 3 Turret / 1 Launcher |
롤 보너스![]() Minmatar Frigate 보너스(레벨당) ![]() ![]() Interceptors보너스(레벨당) Microwarpdrive 시그니처 패널티 15% 감소 ![]() |
빠른 기동력, 대미지와 트래킹 보너스가 붙은 좋은 함선이다. 아틸러리를 달고 많은 수를 모아서 FC가 부르는 타겟에 에프1만 누르게 하는 인셉 독트린으로 활용된다.
![]() 스틸레토 |
|
![]() |
|
![]() ![]() ![]() ![]() ![]() |
|
3 High / 4 Medium / 3 Low | 2 Turret / 1 Launcher |
롤 보너스![]() ![]() ![]() Minmatar Frigate 보너스(레벨당) ![]() ![]() Interceptors보너스(레벨당) 마이크로워프드라이브 시그니처 패널티 15% 감소 워프 재머 옵티멀 5% 보너스 |
아머 함선인데도 불구하고 4미드라는 넓은 슬롯을 가지고 있어 스크램블러와 디스럽터를 동시에 달고도 듀얼프롭을 쓸 수 있음과 동시에 속도도 빠른 인셉 베스트셀러. 종종 인터셉터의 버블 무시 롤 보너스를 활용하여 탐사모듈을 넣고 2초 미만 얼라인 세팅을 하여 돌아다니는 경우가 있다. 이름의 뜻은 단검의 종류 중 하나인 스틸레토
속도와 시그너처가 좋아 Claw 플릿과 같은 인셉 독트린에 기용되거나 속도가 빠른 카이팅 실드 프리깃 독트린에 종종 사용된다. 하지만 칼다리의 키린에 비해 탱킹이 부족해 기용되는 빈도는 굉장히 낮은 편
Thrasher 쓰레셔 |
|
![]() |
|
![]() ![]() ![]() ![]() |
|
8 High / 3 Medium / 2 Low | 7 Turret / 1 Launcher |
롤 보너스![]() Minmatar Destroyer 보너스(레벨당) ![]() ![]() |
민마타 커리어를 완료하면 지급되는 구축함. 오토캐논, 아틸러리 무엇으로 피팅을 해도 강력한 모습을 보여주는 가성비 좋은 디스트로이어 퍽치기를 할 때 시큐리티가 높은 지역에서 발리 데미지를 노려 카탈리스트 대신으로 이 함선이 죽창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Talwar 탈와르 |
|
![]() |
|
![]() ![]() ![]() ![]() |
|
8 High / 3 Medium / 2 Low | 7 Launcher / 1Turret |
롤 보너스 라이트 미사일, 로켓 비행속도 50% 보너스 Minmatar Destroyer 보너스(레벨당) 라이트 미사일, 로켓 대미지 5% 보너스 마이크로워프드라이브 시그니처 패널티 10% 감소 |
롤보너스 그리고 빠른 속도와 라이트 미사일을 사용해 카이팅 입문용으로 종종 사용된다. 하지만 Thrasher에게 솔로잉에 밀리고, Corax에 플릿전에 밀려서 결국 잘 사용되지 않는 비운의 함선
![]() 쓰레셔 플릿 이슈 |
|
![]() |
|
![]() ![]() ![]() ![]() |
|
7 High / 3 Medium / 3 Low | 6 Turret / 1 Launcher |
롤 보너스![]() Minmatar Destroyer 보너스(레벨당) ![]() ![]() ![]() |
민마타 커리어를 완료하면 지급되는 구축함. 오토캐논, 아틸러리 무엇으로 피팅을 해도 강력한 모습을 보여주는 가성비 좋은 디스트로이어 퍽치기를 할 때 시큐리티가 높은 지역에서 발리 데미지를 노려 카탈리스트 대신으로 이 함선이 죽창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 세이버 |
|
![]() |
|
![]() ![]() ![]() ![]() ![]() ![]() |
|
8 High / 4 Medium / 2 Low | 7 Turret / 1 Launcher |
롤 보너스 인터딕션 스피어 런처 피팅가능 Interdictors 보너스(레벨당) ![]() 마이크로워프드라이브 시그니처 페널티 10% 감소 Minmatar Destroyer 보너스(레벨당) ![]() ![]() |
킬보드 1위 함선.
민마타의 인터딕터. 인터딕터들 중 제일 빨라서 웜홀이나 널섹 게이트 캠핑에 애용된다. 널섹에서 코옵 아닌 프리깃 타고 점프했는데 세이버가 보이면 침착하게 프롭 모듈을 오버로드하여 넘어온 게이트로 되돌아가자. 대규모 플릿전에서 사용할 때는 DD급이니 탱킹은 기대하지 말고 버블을 뿌린 후, MWD를 오버로드해서 도망가면 된다.
여담으로 룩스앤킹스가 애용하던 파이프 바밍 전술의 핵심이기도 하다. 게이트에서 클락하고 있다가 상대 플릿이 랜딩하는 방향이나 반대 방향에 버블을 치고 사이노를 열어 기다리는 배쉽 플릿이 브릿징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
사브레 라고 읽는 사람도 있다.
![]() 비프로스트 |
|
![]() |
|
![]() ![]() ![]() ![]() |
|
6 High / 5 Medium / 3 Low | 5 Launcher |
롤 보너스![]() 마이크로워프드라이브 시그니처 페널티 50% 감소 마이크로 점프 필드 제네레이터 피팅가능 Command Destroyer 보너스(레벨당) 마이크로 점프 필드 제네레이터 스풀업 시간 5% 감소 실드, 스커미시 ![]() Minmatar Destroyer 보너스(레벨당) 라이트 미사일, 로켓 대미지 10% 보너스 모든 실드 저항 4% 보너스 |
이너샤가 중요한 커맨드 디스트로이어 함급 중에서 가장 많이 기용되는 함선이다.
![]() 스비풀 |
|
![]() |
|
![]() ![]() ![]() ![]() ![]() |
|
6 High / 4 Medium / 4 Low | 4 Turret / 1 Launcher |
롤 보너스![]() 스캔 프로브 런처 CPU 소모량 95% 감소 세가지 모드로 변형 가능(쿨타임 10초) Minmatar Tactical Destroyer 보너스 (스킬 레벨당) ![]() ![]() 오버로드시 모듈 손상 5% 감소 디펜스 모드 모든 실드 저항 33.3% 보너스 아머 저항 33.3% 보너스 MWD 시그니처 페널티 66.6% 감소 프로펄션 모드 애프터버너, MWD 작동 중 함선 속도 66.6% 보너스 이너시아 33.3% 보너스 샤프슈터 모드 ![]() ![]() 센서 댐프너, 웨폰 디스럽터 저항력 66.6% 보너스 |
T3 디스트로이어인 택티컬 디스트로이어(Tactical Destroyer)
세가지 모드로 어디서든 제한없이 변형이 가능하여, 유동적인 전술을 사용 할 수 있다. 스샷은 스피드 모드
모드 변형 영상
모든 택티컬 디스트로이어의 샤프슈터 모드 스캔레졸 보너스가 삭제되었다.
일단 T3DD중 캡 수치가 가장 나쁘고 사거리 보너스가 폴오프가 아닌 옵티멀에 붙어있어서 사거리 효율만 따지자면 아틸러리 피팅이 효율이 좋은데 콘페서처럼 피팅치가 나빠서 아틸러리와 MWD를 동시에 달기가 어렵다. 거기다 아틸러리를 달아서 사거리보정을 해도 다른 T3DD들의 장거리 무기처럼 사거리가 확 길어지는 것도 아니고 딱 타펙션 DD의 스몰무기다운 사거리인 주제에 알파만 좀 높고 dps는 단거리든 장거리든 개판을 칠 테니 다른 T3DD들과 달리 PVE에선 활약하기가 어렵다. 물론 PVP는 너프 전이든 너프 후든 오캐달고 잘만 쓰니 상관없다.
Bellicose 벨리코즈 |
|
![]() |
|
![]() ![]() ![]() ![]() ![]() ![]() |
|
4 High / 5 Medium / 4 Low | 4 Launcher / Drone 40, 40 |
Minmatar Crusier 보너스(레벨당) 라이트 미사일, 헤비 미사일, 헤비 어썰트 미사일 연사속도 5% 보너스 헤비 미사일, 헤비 어설트 미사일 폭발속도 7.5% 보너스 ![]() |
민마타의 전자전 크루저.
Rupture 럽쳐 |
|
![]() |
|
![]() ![]() ![]() ![]() |
|
5 High / 4 Medium / 5 Low | 4 Turret / 1 Launcher / Drone 30, 30 |
Minmatar Crusier 보너스(레벨당)![]() ![]() |
PvP로 자주 사용되며 민마타 초보들의 2렙 미션에도 쓰이는 좋은 함선. 함선이 멋지게 리디자인됐다.(위의 이미지는 리디자인 전의 모습이다)
민미타 로지를 하는 사람들이 시미타를 타기전에 거쳐가는 배
Stabber 스태버 |
|
![]() |
|
![]() ![]() ![]() ![]() |
|
6 High / 4 Medium / 4 Low | 4 Turret / 2 Launcher / Drone 25, 25 |
Minmatar Crusier 보너스(레벨당)![]() ![]() |
민마타의 공격 크루저. 하지만 성능이 빈약해서 해외 포럼에서는 크루저 장비끼는 DD로 취급받고 있다.
하이섹에서 오르카나 마이닝바지로 채광시켜놓고 자러간 유저들을 상대로 극한의 스피드 셋팅을 한 뒤 범핑을 해 광석에서 떨어뜨리는 용도로도 쓴다. 마이닝 레이저 사거리 바깥으로 몰아내거나 오르카를 드론마이닝 최적거리보다 수십킬로미터나 떨어뜨려 놓는 변태들이 있다.
![]() 사이드 함대 에디션 |
|
![]() |
|
![]() ![]() ![]() ![]() ![]() |
|
5 High / 5 Medium / 5 Low | 4 Turret / 4 Launcher / Drone 25, 25 |
Minmatar Crusier 보너스(레벨당)![]() 라이트 미사일, 헤비 미사일, 헤비 어썰트 미사일 대미지 10% 보너스 |
기동성이 좋아서 크루져급 카이팅에 많이 쓰인다. 탱킹은 약하지만 이리저리 도망치면서 쫒아오는 작은 배들만 잘라먹는 재미가 쏠쏠하다.
![]() 스태버 함대 에디션 |
|
![]() |
|
![]() ![]() ![]() ![]() |
|
5 High / 4 Medium / 6 Low | 5 Turret / 3 Launcher / Drone 40, 40 |
Minmatar Crusier 보너스(레벨당)![]() ![]() |
민마타 특유의 속도로 카이팅이 무서운 팩션 크루져
2018년 말부터 유행하기 시작한 널섹 미디움 독트린의 상징격인 배. 거의 모든 널섹 얼라이언스는 뮤닌-시미타 독트린을 보유하고 있다. 빠른 속도와, 마웝을 켜도 유지되는 캡 스테이블, 시그너쳐 패널티 감소,1) 긴 사정거리와 알파샷 데미지, 어썰트 데미지 컨트롤로 인한 순간 방어력 등등 도저히 버릴 것이 없는 배. 하지만 최근 중국서버에서 물건너온 이글 플릿에 밀려 요즘은 조금 시들시들한 상황 함선의 이름은 북유럽 신화의 신 오딘이 데리고 다니는 두 마리의 까마귀 중 하나인 무닌
2020년 4월 15일 Surgical Strike 패치로 스킬 레벨 당 옵티멀, 데미지 보너스가 너프됨
2022년 11월 8일 미사일쉽으로 리워크되었다.
쉽보너스 때문에 쉴드 탱킹의 솔로잉 배로 사용된다. 미드를 사용하는 쉴드 탱킹 배치고 4미드라는 끔찍한 수치를 보여주지만 좋은 저항치와 쉴드 부스트 보너스의 조합으로 하여금 엄청난 탱킹을 기대하게 해준다. 한글화 전 유저들은 주로 바가본드라고 부른다.
힉터는 DD급 인터딕터와 다르게 장판파를 시전하거나 타겟을 물고 늘어지는 일을 주로해서 민마타 특유의 스피디한 특성은 살리기 어렵다.
아주 가끔 500MN(!)마웝을 다는등 마개조를해서 3000m/s로 쫒아오는 움직이는 거대버블을 만드는 경우도 보인다.
이름의 어원은 페르시아어로 “사자의 꼬리”라는 뜻의 칼, Scimitar이다.
같은 실드 로지스틱스인 Basilisk와 비교했을 때 최대 EHP는 작지만 더 작은 시그니처와 빠른 속도로 인해 실드 플릿 에서는 더 애용된다. 또한, 캡체인 없이도 로지가 혼자 로지가 가능하기에 편하게 로지를 볼 수 있으며 인커전에서도 자주 보이는 함선
![]() 레이피어 |
|
![]() |
|
![]() ![]() ![]() ![]() ![]() ![]() ![]() ![]() |
|
4 High / 6 Medium / 4 Low | 1 Turret / 3 Launcher / Drone 40, 40 |
롤 보너스![]() ![]() ![]() ![]() ![]() Minmatar Cruiser 보너스 (스킬 레벨당) ![]() ![]() ![]() ![]() Recon Ships 보너스 (스킬 레벨당) ![]() ![]() |
휴긴에비해 피팅치가 좀 빡빡한편이지만 웹사거리보너스가 휴긴과 동일하여 나름 자주보이는편이다.
![]() 후긴 |
|
![]() ![]() ![]() ![]() ![]() ![]() ![]() |
|
5 High / 6 Medium / 4 Low | 4 Turret / 1 Launcher / Drone 40, 40 |
롤 보너스 디렉셔널 스캐너에 탐지되지 않음 Minmatar Cruiser 보너스 (스킬 레벨당) ![]() ![]() Recon Ships 보너스 (스킬 레벨당) ![]() ![]() |
타겟 페인터 효과는 둘째치고 무시무시한 스테이시스 웹보너스가 프리깃을 잡아채는 사신으로 만들어준다. 그 어떤 프리깃도 후긴의 웹을 피해 갈 수는 없다. 팩션웹에 Recon Ships 만렙일 경우 최대 60km를 육박하는 웹 사거리를 가질 수 있다.
![]() 로키 |
|
![]() ![]() ![]() ![]() ![]() ![]() ![]() ![]() ![]() |
|
모든 능력치는 서브시스템 커스텀에 따라 달라짐 | |
롤 보너스 리그 제거시 리그가 파괴되지 않음 스캔 프로브 런처 CPU 소모량 99% 감소 Minmatar Strategic Cruser 보너스 (스킬 레벨당) 오버로드시 모듈 손상 5% 감소 나나이트 리페어속도 10% 보너스 서브시스템 보너스 Minmatar Offensive Systems (스킬 레벨당) Minmatar Propulsion Systems (스킬 레벨당) Minmatar Core Systems (스킬 레벨당) Minmatar Defensive Systems (스킬 레벨당) |
외관과 능력치는 서브시스템에 따라 조합이 가능하다. Strategic Cruiser#Loki 참고.
패치로 인해 스킬 레벨이 감소하는 패널티가 사라졌다.
Cyclone 사이클론 |
|
![]() |
|
![]() ![]() ![]() ![]() ![]() |
|
7 High / 5 Medium / 5 Low | 2 Turret / 5 Launcher / Drone 50, 50 |
롤 보너스![]() 미사일 비행속도 25% 보너스 Minmatar Battlecruiser 보너스 (스킬 레벨당) 헤비 미사일, 헤비 어설트 미사일 연사속도 7.5% 보너스 실드부스트량 7.5% 보너스 |
미사일과 실드 부스트 보너스를 받는 미사일 민마타 라인의 배틀 크루져 피팅치가 좀 빡빡하고 실드 탱킹치고는 미들이 좁아서 탱킹 모듈 몇개 끼고 보면 자리가 별로 없다. 캡도 넉넉하지는 않은 편.
Hurricane 허리케인 |
|
![]() |
|
![]() ![]() ![]() ![]() ![]() |
|
7 High / 4 Medium / 6 Low | 6 Turret / 3 Launcher / Drone 30, 30 |
롤 보너스![]() ![]() Minmatar Battlecruiser 보너스 (스킬 레벨당) ![]() ![]() |
민마타의 검
검집을 연상케하는 멋진 외형의 민마타의 배틀크루저로 공방성능이 준수하여 PvE, PvP 어디든지 사용되는 팔방미인이다.
6개의 프로젝타일 터렛과 골고루 붙은 터렛 보너스에서 나오는 화력은 오토캐논, 아틸러리 구분없이 모두 상당한 화력을 뿜어내며 1개의 유틸 슬롯에 뉴트럴라이저를 달 수 있어 캡 워페어 또한 가능하다.
미드 슬롯이 4개 뿐이지만 로우 슬롯에 터렛 대미지 모듈과 트래킹 인핸서를 몰아준 뒤 강력한 화력으로 밀어붙이는 실드 탱킹이 가능하다. 반대로 미드 슬롯에 태클링 삼신기를 장착한 아머 탱킹 역시 가능하다.
민마타 특유의 기동성도 가지고 있어 어느 프롭모듈을 쓰더라도 좋은 성능을 내기 때문에 PvP, PvE 구분 없이 운용 난이도는 낮은 편이다.
이름의 유래는 대서양에서 북미로 오는 열대성 저기압을 모두 이르는 말인 허리케인.
Tornado 토네이도 |
|
![]() |
|
![]() ![]() ![]() ![]() |
|
8 High / 5 Medium / 4 Low | 8 Turret |
롤 보너스![]() ![]() Minmatar Battlecruiser 보너스 (스킬 레벨당) ![]() ![]() |
퍽치기의 황제
함선 보너스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배틀크루저인데 라지급 무기를 사용한다. 대신 방어력이 비교적 함급에 비해 약한데 어차피 방어력은 필요 없고 순간적인 극딜만을 위한 퍽치기꾼에게 필수인 함선이 되었다. 예전의 퍽치기는 마엘스트롬이라는 비싼 전함을 이용했기에, 상대가 어지간히 비싼 모듈을 주렁주렁 달고 다니는게 아니라면 퍽치기로 이득을 챙기기 힘들었지만 이 녀석은 죽창전용으로 피팅해도 100밀도 들지 않는 주제에 알파샷은 1만을 넘어간다.
상권 스테이션 근처에 토네이도가 있으면 가급적 고가의 물품은 옮길 생각은 하지도 말 것.
디자인은 2010년 이브온라인에서 개최한 데비안아트 스타쉽 디자인 콘테스트 최우수작품.
Hurricane Fleet Issue 허리케인 함대 에디션 |
|
![]() |
|
![]() ![]() ![]() ![]() |
|
8 High / 4 Medium / 6 Low | 6 Turret / 3 Launcher / Drone 50, 50 |
롤 보너스![]() ![]() Minmatar Battlecruiser 보너스 (스킬 레벨당) ![]() ![]() |
허리케인에서 연사력 보너스가 빠진 대신 강화된 대미지 보너스와 트래킹 보너스가 붙어 좀 더 유연하고 화력이 강화된 프로젝타일 터렛을 볼 수 있다.
성능이 전반적으로 강화된 허리케인으로 하이슬롯이 1개 더 늘어나 6개의 터렛과 2개의 뉴트럴라이저를 이용해 더욱 강력해진 PvP 성능을 자랑한다.
탱킹 면에서도 1600mm 롤텅을 2개나 장착할 수 있어 더욱 단단해져 컴뱃 배틀크루저 중에서 최정상급 성능을 뽑아낼 수 있으나 가격이 비싸다보니 솔로잉으로는 잘 쓰이지는 않는 편이다.
![]() 사이클론 플릿 이슈 |
|
![]() |
|
![]() ![]() ![]() ![]() ![]() |
|
8 High / 5 Medium / 5 Low | 2 Turret / 6 Launcher / Drone 50, 50 |
롤 보너스![]() 미사일 비행속도 25% 보너스 Minmatar Battlecruiser 보너스 (스킬 레벨당) ![]() ![]() ![]() ![]() 함선 시그니처 반경 감소 5% 보너스 |
미사일과 실드 부스트 보너스를 받는 미사일 민마타 라인의 배틀 크루져 피팅치가 좀 빡빡하고 실드 탱킹치고는 미들이 좁아서 탱킹 모듈 몇개 끼고 보면 자리가 별로 없다. 캡도 넉넉하지는 않은 편.
![]() 클레이모어 |
|
![]() |
|
![]() ![]() ![]() ![]() ![]() |
|
7 High / 6 Medium / 4 Low | 2 Turret / 5 Launcher / Drone 50, 75 |
롤 보너스![]() Minmatar Battlecruiser 보너스 (스킬 레벨당) 헤비, 헤비 어설트 미사일 연사속도 5% 보너스 모든 실드 저항 4% 보너스 Command Ships 보너스 (스킬 레벨당) 헤비, 헤비 어설트 미사일 연사속도 5% 보너스 헤비, 헤비 어설트 미사일 속도 10% 보너스 실드 커맨드, 스커미시 커맨드 버스트 효율 3% 보너스 |
실드 인커전 갱부쉽으로도 자주 쓰이며 하이에 리모트 실드 부스터를 달고 로지를 도와주기도 한다
![]() 슬레이프니르 |
|
![]() |
|
![]() ![]() ![]() ![]() ![]() |
|
7 High / 5 Medium / 5 Low | 5 Turret / 2 Launcher / Drone 25, 25 |
롤 보너스![]() Minmatar Battlecruiser 보너스 (스킬 레벨당) ![]() 실드부스트량 7.5% 보너스 Command Ships 보너스 (스킬 레벨당) ![]() ![]() 실드 커맨드, 스커미시 커맨드 버스트 효율 4% 보너스 |
매우 단단하지만 실드 부스터 보너스인지라 알파샷에는 취약하다. 하지만 1:다 접전의 솔로 PvP에 능한데 절대 죽지 않는 실드 부스팅과 캡도 안 먹는 프로젝타일의 조합은 공포스럽다.
민마타의 미사일 배틀쉽이다. 같은 무기체계와 라인업에서 비슷한 포지션을 담당하는 칼다리의 레이븐과 비교하자면 미사일의 비행속도가 약간 느리지만 폭발속도 보너스가 붙어있어 중거리 내에서 속도가 빠른 타겟을 상대할때 비교적 유리하다.
로우는 1/3/3의 아머쉽 정석세팅으로 5개의 미들 슬롯은 가이던스 컴퓨터나 타겟 페인터를 달아서 쓰면 미사일류 대미지 계산식에 의한 딜 로스를 상당히 줄일 수 있다.
프로젝타일 터렛이 주력인 민마타에서 사파로 취급받는 미사일 트리의 배틀쉽임에도 불구하고 T1 민마타 배틀쉽 중에서 가장 안정적으로 미션을 돌 수 있다는 점이 상당히 아이러니하다.
민마타 함선 치고는 꽤 괜찮은 외형을 가지고 있으나 성능은 약간 애매한 배틀쉽. 프로젝타일 건의 특성상 짧은 옵티멀 대신 길쭉한 폴오프에 의존하는 경향이 큰데 이를 보정할 쉽 보너스가 없어 DPS의 허상이 매우 잘 드러난다.
6터렛과 준수한 쉽 보너스가 무색하게도 PvE에서는 쓰이지 않는다. 아틸러리는 연사력과 트래킹 문제, 오토캐논은 짧은 옵티멀 문제가 있어 당최 써먹을 요량이 보이지 않는 것이 그 이유. 이 때문에 민마타 미셔너들은 상위호환인 엔젤 카르텔의 마차리얼로 4레벨 미션을 수행한다.
대신 PvP에선 꽤 쓰이는 편이다. 6터렛의 라지 프로젝타일 건에서 나오는 적절한 화력과 유틸슬롯의 캡 워페어 모듈로 상대를 괴롭히는게 가능하기 때문.
Maelstrom 마엘스트롬 |
|
![]() |
|
![]() ![]() ![]() ![]() |
|
8 High / 6 Medium / 5 Low | 8 Turret / Drone 100, 100 |
롤 보너스![]() ![]() ![]() Minmatar Battleship 보너스 (스킬 레벨당) ![]() 실드부스트량 7.5% 보너스 |
1400mm 아틸러리 8터렛의 마엘스트롬 플릿의 화력이 매우 강력해서 여러 전장에 간간히 등장한다. 프라이머리 타겟으로 찍힌 목표는 일제사 한방에 바로 터질 정도. 슬롯의 차이 때문에 보너스가 더 좋은 템페스트보다 플릿전에서 인기가 좋다.
실드 부스터 회복량 보너스가 있어 안실러리 실드 부스터와 캡 부스터의 효율이 좋은 함선이라 솔로 PvP에도 간간히 쓰인다. 미션에서의 안정성도 템페스트나 타이푼에 비하면 좋은 편이지만 요즘은 미션 용도로 타는 경우가 거의 없다. 여러모로 상위호환인 마차리얼이 있기 때문.
일반적으로 쓰이는 미사일 쉽 중 딜이 세 손가락안에 든다. 단점은 폭반, 폭속 보너스없이 깡딜만으로 승부를 보라는 느낌의 쉽 보너스 때문에 동 체급이나 그 이상의 상대에게만 최상의 화력을 낼 수 있다는게 단점. 125Mbit/s에 달하는 광대역의 드론 밴드위스를 최대한 활용하여 단점을 보완하는 플레이가 필요하다.
프로젝타일 터렛 역시 연사력 보너스가 붙어 있지만 무기체계의 근본적인 문제로 지목되는 느려터진 트래킹과 짧은 옵티멀이 발목을 잡는다. 이 때문에 대체로 미사일 쉽으로 운용한다.
민마타의 팩션 배틀쉽
![]() 팬서 |
|
![]() |
|
![]() ![]() ![]() ![]() ![]() |
|
8 High / 5 Medium / 6 Low | 5 Turret / Drone 125, 175 |
롤 보너스![]() ![]() ![]() ![]() ![]() ![]() ![]() ![]() ![]() ![]() Minmatar Battleship 보너스 (스킬 레벨당) ![]() ![]() Black Ops 보너스 (스킬 레벨당) ![]() ![]() |
4대 팩션 블랙옵스중 캡을 안먹는 무기, 적절한 미드로우 슬롯, 넓은 드론 대역폭에 힘입어 가장 준수한 성능을 자랑한다. 단점이라면 피팅치가 슬롯구성에 비해 낮아서 CPU를 많이 먹는 텍투 모듈 피팅은 거의 불가능한 수준이라 피팅치 관련 임플란트를 박아야 하며 팩션템, 데드템 의존이 높아져 가격이 천정부지로 올라가게 되는 경우가 많다.
패치로 블랙 옵스 보너스가 이동속도 보너스에서 유효사거리 및 트래킹 보너스로 바뀌어서 유효 화력이 확 올라갔다. 마차리얼과 비교하면 연사력 및 사거리가 마차리얼과 완전히 똑같은 수준으로 상향된 건데, 여기서 +37.5%의 트래킹 보너스와 이속 및 워프 속도에서 우위를 점해 경쟁력이 있다. 물론 성능 이외 피팅 효율이2) 좀 떨어지지만 굳이 하겠다면미션에서 마차와 유사하게 굴릴 수 있게 되었고 랫질 및 데드털이에서 더 활약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것이 중요.
![]() 바르거 |
|
![]() |
|
![]() ![]() ![]() ![]() |
|
8 High / 6 Medium / 5 Low | 4 Turret / Drone 50, 75 |
롤 보너스![]() 트랙터빔 범위 100% 보너스 트랙터빔 견인속도 100% 보너스 마이크로 점프 드라이브 딜레이 70% 감소 바스티온 모듈 사용 가능 ![]() ![]() ![]() Minmatar Battleship 보너스 (스킬 레벨당) ![]() ![]() Marauders 보너스 (스킬 레벨당) 실드부스트량 7.5% 보너스 ![]() |
민마타 미셔너들의 마지막 종착역이다. 빠르게 치고 빠지는 엔젤의 마카리엘 대신 묵직한 안정성을 원한다면 이 배를 선택하게 된다. 한글화 이전부터 이브를 즐겨오던 유저들은 바거로 읽는다.
프로젝타일 건 중에서도 바르거는 답답한 아틸러리 대신 오토캐논을 주로 사용한다. 연사력, 최대 사거리, 터렛의 추적능력에 보너스를 많이 받는 덕분에 트래킹 컴퓨터 모듈을 장착하면 단거리 탄 기준으로 60 km 언저리의 중거리까지 커버할 수 있다. 단, 최적 사거리는 함선 보너스로는 보정을 받지 않아 10 km 전후에 머무르기 때문에 표기상의 DPS와 실제 공격력과는 상당히 큰 편차를 보인다.
DPS를 최대한 내기 위해 접근을 해야하니 결국 MWD의 장착은 필수. 아틸러리를 사용한다면 MJD로 삼각점프를 이용하자.
탱킹은 머라우더답게 바스티온과 반응이 빠른 쉴드 부스터로 매우 단단하나 미친듯이 캡을 퍼먹기 때문에 돈을 많이 들여 캡 스테이블 피팅을 하는 것이 아니라면 관리에 주의할 것.
시즈모드시 움직이지 못하고 터렛부분이 튀어나와 앞으로 이동하며 대미지와 탱킹이 증폭된다. 함선 크기에 비해 터렛크기가 매우 커서 크고 아름다운 거함거포를 볼 수 있는 함급. 세로로 매우 길게 생긴 독특한 외형으로 수십대가 모여있으면 마치 사냥을 하는 갈치같은 모습이 특징. 이전에는 2터렛 1미사일이라는 이도저도 아닌 무기체계를 가지고 있다가 미사일이 삭제되고 2터렛에 대미지 +50% 롤보너스가 붙어있다가 3터렛으로 변경되고 롤보너스도 삭제되었다
4대팩션 드레드넛중 가장 범용성 높은 성능을 가지고 있어 가장 많이 쓰이기도 한다.
Dreadnought급 끼리의 싸움에서 Revelation 사이에 종종 껴있는 나글파는 딜이 높고 탱킹이 약하기에 1등 Primary 타겟 대상이다.
이름의 어원은 북유럽 신화의 저승의 여신 헬이 죽은 사람의 손발톱을 엮어 만든 배 나글파르. 영어 발음은 나글파.
시즈모드시 움직이지 못하고 터렛부분이 튀어나와 앞으로 이동하며 대미지와 탱킹이 증폭된다. 함선 크기에 비해 터렛크기가 매우 커서 크고 아름다운 거함거포를 볼 수 있는 함급. 세로로 매우 길게 생긴 독특한 외형으로 수십대가 모여있으면 마치 사냥을 하는 갈치같은 모습이 특징. 이전에는 2터렛 1미사일이라는 이도저도 아닌 무기체계를 가지고 있다가 미사일이 삭제되고 2터렛에 대미지 +50% 롤보너스가 붙어있다가 3터렛으로 변경되고 롤보너스도 삭제되었다
4대팩션 드레드넛중 가장 범용성 높은 성능을 가지고 있어 가장 많이 쓰이기도 한다.
Dreadnought급 끼리의 싸움에서 Revelation 사이에 종종 껴있는 나글파는 딜이 높고 탱킹이 약하기에 1등 Primary 타겟 대상이다.
이름의 어원은 북유럽 신화의 저승의 여신 헬이 죽은 사람의 손발톱을 엮어 만든 배 나글파르. 영어 발음은 나글파.
Nidhoggur 니드호거 |
|
![]() |
|
![]() ![]() ![]() ![]() ![]() ![]() |
|
5 High / 5 Medium / 6 Low | Fighter Squad 3(3L,1S), 65,000m3 |
플릿행어 10,000m3 / 쉽베이 1,000,000m3 / 점프드라이브 범위 2.5ly | |
롤 보너스![]() ![]() ![]() ![]() ![]() Minmatar Carrier 보너스 (스킬 레벨당) ![]() ![]() ![]() ![]() |
니드호거는 상위 함선인 헬의 설계도를 그대로 물려받아 소형화된 함선으로 자신의 형제가 가진 특징들을 그대로 가지고 있습니다. 오직 전면전만을 염두에 두고 설계되었고 그 역할을 훌륭히 수행해내고 있기에 전장에서 주력 함선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민마타의 캐리어. 이름의 유래는 북유럽 신화에서 위그드라실의 뿌리에 사는 용의 이름에서 따왔다.
갈란테의 타나토스 다음으로 PVE에서 쓸만한 배.
생긴게 좀 그래서 슬레이트 지붕이라고 폄훼받는경우도 있다(…)
Hel 헬 |
|
![]() |
|
![]() ![]() ![]() ![]() ![]() ![]() ![]() ![]() |
|
6 High / 7 Medium / 5 Low | Fighter 5(3L,2S,3H), 100000m3 |
플릿행어 50,000m3 / 쉽베이 2,500,000m3 / 점프드라이브 범위 2.5ly | |
롤 보너스![]() ![]() ![]() ![]() ![]() 캐피탈 아머 플레이트, 실드 익스텐더 400% 보너스 ![]() ![]() 리모트 어시스턴스 임피던스 50% 감소 ![]() Minmatar Carrier 보너스 (스킬 레벨당) ![]() ![]() ![]() ![]() ![]() |
민마타의 고향 행성 마타르에 서식하던 상어로부터 영감을 받아 제작된 함선입니다. 헬 개발 프로젝트는 은밀하게 진행되었기에 개발 초기 극소수의 관계자만이 개발 과정 및 함선의 성능을 파악하고 있었습니다. 이후 함선이 공개되면서 민마타에서 대규모 함선을 설계할 능력이 부족하다고 믿었던 사람들은 큰 충격에 빠졌습니다.
화려한 장식도, 편안한 내부 시설도 갖추어지지 않은 이 거대한 함선은 오직 한 가지 목적만을 가진 채 설계되었습니다.
“악마의 입에서 말벌 떼가 쏟아져 나온다고 상상해보십시오. 그런데 그 말벌 떼가 심지어 오토캐논을 달고 있는 겁니다.”
-성명 미상의 헬 설계자
니드호거와 마찬가지로 파이터속도 보너스가 현재 캐리어전술 메타와 맞물려 가장 인기 있는 슈퍼캐리어이다. 민마타의 슈퍼캐리어. 이름의 어원은 북유럽 신화의 저승의 여신 헬.
CCP 공식 트레일러 Prophecy에서 둠스데이 샌드백으로 출연한다.
랫질시 틱이 슈퍼캐리어중에 가장 높다.
Lif 리프 |
|
![]() |
|
![]() ![]() ![]() ![]() ![]() |
|
6 High / 6 Medium / 5 Low | Drone 375, 500 |
플릿행어 10,000m3 / 쉽베이 1,000,000m3 / 점프드라이브 범위 2.5ly | |
롤 보너스![]() ![]() ![]() ![]() ![]() ![]() Minmatar Carrier 보너스 (스킬 레벨당) ![]() ![]() 실드 부스트량 7.5% 보너스 ![]() |
칼다리의 FAX 미노카와에 밀려 거의 쓰이지 않는 배이다.
Ragnarok 라그나로크 |
|
![]() |
|
![]() ![]() ![]() ![]() ![]() |
|
8 High / 7 Medium / 6 Low | 6 Turret |
플릿행어 100,000m3 / 쉽베이 5,000,000m3 / 점프드라이브 범위 2.5ly | |
롤 보너스![]() ![]() ![]() ![]() ![]() ![]() 아머 플레이트, 실드 익스텐더 효율 300% 보너스 ![]() ![]() ![]() 리모트 어시스턴스 저항 80% 감소 ![]() Minmatar Titan 보너스 (스킬 레벨당) ![]() ![]() 플릿 부스터 시그니처 7.5% 감소 ![]() |
우리 민족의 자유는 우리 스스로가 책임져야 합니다. 우리를 기다리는 동포들을 내팽개치려는 유혹에서 벗어나, 우리 스스로 나머지 동족들의 해방의 책임을 짊어져야 합니다. 너무나도 오랫동안, 자랑스러운 우리 민족은 노예 사냥꾼들의 기분에 따라 끝없는 고통과 위선적이고 쓸데없는 종교적 교리에 의해 유치하고도 비열한 치욕을 견뎌야만 했습니다. 하지만 우리에게 재기의 기회, 형제들과 다시 함께할 수 있는 기회가 마침내 찾아왔습니다. 바로 지금 이 역사적인 순간, 동포들의 자유에 대한 착취자들의 억압은 힘을 잃고 있습니다. 우린 이 기회를 놓쳐서는 안됩니다.
형제들이여, 우리는 일어나야 합니다.
Malaetu Shakor, Republic Parliament Head
Speaking before the Tribal Council
November 27th, YC 107
둠스데이는 원래는 미사일이었다가 2011년 허공에서 아틸러리 포가 수십 발 나가는 모습으로 교체됐다. 둠스데이라는 무기 치고는 위엄이 없어 보였다가 2015년에서 좀 더 임팩트 있게 바뀌었다. 그래도 다른 둠스데이보다는 위엄이 좀 떨어지는 편. 둠스데이 성능 자체는 가장 좋은편이다.
이름의 어원은 북유럽 신화의 세계의 종말의 날. 전용 둠스데이인 걀라르호른은 세계 종말이 왔다는 사실을 세상에 알리기 위한 뿔피리의 이름.
4대팩션 중에서 가장 뛰어난 성능을 자랑하는 타이탄. BPC 가격도 4대팩션 중에서 가장 비싸다. 라그나로크를 메인 독트린쉽으로 운용하는 얼라이언스에서 대 타이탄 전투를 체감해본 결과, DD (둠스데이) 싸움에서 라그나로크의 걀라르호른은 압도적인 발리속도를 느낄 수 있다! 그외에도 XL 아틸러리건의 순간알파샷과, EM, TH, KI, EX 의 다양한 탄약속성은 PVP에서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아머탱킹을 하든 쉴드 탱킹을 하든 아바타, 레비아탄보다 탱킹이 떨어져 대 타이탄 전투에는 상기한 이유와 같이 타겟팅 1순위가 된다.
19년 여름 패치로 팍스가 너프된다면, 듀얼탱킹으로 제일 튼튼한 타이탄이 될 수 있다는 카더라가 돌고 있는 상태이다
2020년 4월 15일자 Surgical Strike 패치로 실드 확장장치 및 아머 플레이트 보너스 너프
Minmatar Shuttle 민마타 셔틀 |
|
![]() |
|
![]() ![]() |
|
카고 10m3 | |
롤 보너스![]() Mobile Warp Disruptor, Warp Disruption Field Generator, Interdiction Probe에 면역 |
2021년 5월 18일, Warp Core Stabilizer 변경과 함께 버블 무시 효과 추가됨.
Hoarder 호더 |
|
![]() |
|
![]() ![]() |
|
3 High / 4 Medium / 3 Low | 2 Turret |
카고 500m3 / 아모 베이 41,000m3 | |
롤 보너스![]() Minmatar Industrial 보너스 (스킬 레벨당) ![]() 가스 카고 10% 보너스 |
본격 탄약보급선. 탄약 전용 카고가 달려있다. 캡 부스터를 가득 채우고 쉽 행어에 넣고 다니면서 급하면 터뜨려 쓰는 캡 부스터 창고 역할로도 사용 가능하다.
굉장히 뜬금없이 가스 카고가 생겼는데, 미아스모스에 비해서 가스 카고 용량은 적으면서 보너스 수치는 똑같아서 쓰지않는다.
Mammoth 맘모스 |
|
![]() |
|
![]() ![]() |
|
2 High / 4 Medium / 5 Low | 1 Turret |
카고 5,500m3 | |
롤 보너스![]() Minmatar Industrial 보너스 (스킬 레벨당) ![]() 이동속도 5% 보너스 |
Wreathe 레이쓰 |
|
![]() |
|
![]() ![]() |
|
2 High / 5 Medium / 5 Low | 1 Turret |
카고 2,900m3 | |
롤 보너스![]() Minmatar Industrial 보너스 (스킬 레벨당) ![]() 이너시아 모디파이어 5% 보너스 |
![]() 프라울러 |
|
![]() |
|
![]() ![]() |
|
2 High / 3 Medium / 3 Low | 1 Turret / 1 Launcher |
카고 3,500m3 | |
롤 보너스![]() 코버트 옵스 클로킹 디바이스, 코버트 사이노 필드 제네레이터 사용 가능. 재클로킹 딜레이 5초로 감소 카고 스캐너 면역 Minmatar Industrial 보너스 (스킬 레벨당) ![]() 이동속도 5% 보너스 Transport Ship 보너스 (스킬 레벨당) ![]() 클로킹 디바이스 CPU 소모량 20% 감소 |
Fenrir 펜리르 |
|
![]() |
|
![]() ![]() |
|
0 High / 0 Medium / 3 Low | |
카고 435,000m3 | |
롤 보너스![]() Reinforced Bulkheads CPU 소모량 100% 감소 Minmatar Freighter 보너스 (스킬 레벨당) ![]() 이동속도 5% 보너스 |
세번째로 프레이터 건조에 성공한 국가인 민마타 공화국은 설계 초기단계에서부터 균형 잡힌 함선의 시스템을 갖추는 것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이를 통해 거대한 적재량을 가진 경량급 프레이터이라는 독특한 결과물이 탄생하였습니다.
속도 / 이너시아 | 카고 용량 | 탱킹 |
1위 | 공동 3위 | 4위 |
![]() 노마드 |
|
![]() |
|
![]() ![]() |
|
0 High / 0 Medium / 3 Low | |
카고 132,000m / 점프드라이브 범위 5ly | |
롤 보너스![]() Reinforced Bulkheads CPU 소모량 100% 감소 Minmatar Freighter 보너스 (스킬 레벨당) ![]() 이너시아 모디파이어 5% 보너스 Jump Freighter 보너스 (스킬 레벨당) 실드량 10% 보너스 헐량 10% 보너스 점프드라이브 연료량 10% 감소 |
터커 부족이 무슨 수로 탐지를 피하면서 대규모 캐러밴을 이동 시킬 수 있었는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나 노마드에 탑재된 첨단 점프 드라이브와 연관되었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최근 노마드를 중심으로 독립적인 활동을 하는 경우가 많아진 상황이며 이를 바탕으로 노마드의 역할 또한 한층 부각되고 있습니다.
개발사: 터커 조합
터커 부족은 거대한 캐러밴을 타고 한평생 무한한 공간을 떠돌아다닙니다. 그들의 뛰어난 기술력은 부족 대대로 전승되어온 능력이기도 하지만 필요에 의해 발전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터커 부족의 함선은 그들만의 독특한 생활 방식에 맞게 변화되어 일반적인 민마타 함선의 기본 틀에서 상당히 개량된 형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