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ship:minmatar [2025/07/09 17:35] 2406:5900:1181:661b:2885:8fd7:523b:aa5c [6.2.2. Vargur] |
ship:minmatar [2025/09/10 19:33] (현재) 2406:5900:1181:661b:dc9b:a18f:be07:f99a [2.2.6. Claw] |
||
---|---|---|---|
줄 237: | 줄 237: | ||
>바운들리스 크리에이션의 함선은 화력의 다다익선을 추구하는 브루터 부족의 전투 사상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방어 시스템이나 "비열한 속임수"와 같은 전자전 시스템에 대한 투자는 자연스럽게 후순위로 밀려났습니다. | >바운들리스 크리에이션의 함선은 화력의 다다익선을 추구하는 브루터 부족의 전투 사상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방어 시스템이나 "비열한 속임수"와 같은 전자전 시스템에 대한 투자는 자연스럽게 후순위로 밀려났습니다. | ||
- | 빠른 기동력, 대미지와 트래킹 보너스가 붙은 좋은 함선이다. 아틸러리를 달고 많은 수를 모아서 FC가 부르는 타겟에 에프1만 누르게 하는 인셉 독트린으로 활용된다. | + | 빠른 기동력, 대미지와 트래킹 보너스가 붙은 좋은 함선이다. 태클 삼신기가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이쪽으론 스틸레토가 주로 쓰이며, 아틸러리를 달고 많은 수를 모아서 FC가 부르는 타겟에 에프1만 누르게 하는 인셉 독트린으로 활용된다. |
=== - Stiletto === | === - Stiletto === | ||
|<100% 50% 50%>| | |<100% 50% 50%>| | ||
줄 250: | 줄 250: | ||
>코어 컴플렉션은 막강한 화력을 중시하는 민마타식 전통의 설계 대신 전자전 및 방어력에 치중된 함선을 개발하기로 유명합니다. | >코어 컴플렉션은 막강한 화력을 중시하는 민마타식 전통의 설계 대신 전자전 및 방어력에 치중된 함선을 개발하기로 유명합니다. | ||
- | 아머 함선인데도 불구하고 4미드라는 넓은 슬롯을 가지고 있어 스크램블러와 디스럽터를 동시에 달고도 듀얼프롭을 쓸 수 있음과 동시에 속도도 빠른 인셉 베스트셀러. 종종 인터셉터의 버블 무시 롤 보너스를 활용하여 탐사모듈을 넣고 2초 미만 얼라인 세팅을 하여 돌아다니는 경우가 있다. | + | 아머 함선인데도 불구하고 4미드라는 넓은 슬롯을 가지고 있어 스크램블러와 디스럽터를 동시에 달고도 듀얼프롭을 쓸 수 있음과 동시에 속도도 빠른 인셉 베스트셀러. 태클할 먹잇감을 찾아 분주히 돌아다니는 스틸레토는 세이버 다음가는 요주의 경계대상이다. |
+ | |||
+ | 종종 인터셉터의 버블 무시 롤 보너스를 활용하여 탐사모듈을 넣고 2초 미만 얼라인 세팅을 하여 돌아다니는 경우가 있다. | ||
이름의 뜻은 단검의 종류 중 하나인 스틸레토 | 이름의 뜻은 단검의 종류 중 하나인 스틸레토 | ||
=== - Scalpel === | === - Scalpel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