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 |||
t1생산 [2019/03/25 13:47] 김재희 [T1생산] |
t1생산 [2023/02/27 02:02] (현재) Funzinnu |
||
---|---|---|---|
줄 5: | 줄 5: | ||
위의 예시는 아마르 라이트 드론 생산 시의 예시이다. | 위의 예시는 아마르 라이트 드론 생산 시의 예시이다. | ||
- | === 1 블루프린트 구하기 === | + | === - 블루프린트 구하기 === |
T1품목의 BPO(BluePrint Original, 무한정 생산이 가능함)는 보통 하이섹에서 NPC가 마켓에서 판매한다. 마켓에서 구매 시 ME(Material Efficiency, 생산 시 재료 양 효율)과 TE(Time Efficiency, 생산 시간 효율)는 둘다 0이며, ME와 TE가 1이라도 연구된 BPO는 마켓에서 판매가 불가능하고, 컨트랙으로 판매해야 한다. | T1품목의 BPO(BluePrint Original, 무한정 생산이 가능함)는 보통 하이섹에서 NPC가 마켓에서 판매한다. 마켓에서 구매 시 ME(Material Efficiency, 생산 시 재료 양 효율)과 TE(Time Efficiency, 생산 시간 효율)는 둘다 0이며, ME와 TE가 1이라도 연구된 BPO는 마켓에서 판매가 불가능하고, 컨트랙으로 판매해야 한다. | ||
- | === 2 생산 === | + | === - 생산 === |
재료를 준비하고, 포스/스테이션에서 BPO나 BPC(BluePrint Copy, BPO를 복사하여 만들고, 생산 런수가 정해져있다)와 재료를 투입하여 생산한다. | 재료를 준비하고, 포스/스테이션에서 BPO나 BPC(BluePrint Copy, BPO를 복사하여 만들고, 생산 런수가 정해져있다)와 재료를 투입하여 생산한다. | ||
- | === 3 팁 === | + | === - 팁 === |
생산을 할때, 적은 재료로 생산하는것과 빨리 생산하는것은 수익에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에 ME와 TE는 가능한 한 올리는 게 좋다. | 생산을 할때, 적은 재료로 생산하는것과 빨리 생산하는것은 수익에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에 ME와 TE는 가능한 한 올리는 게 좋다. | ||